장미과 꽃
식물계(Plantae) > 속씨식물문(Angiosperms)/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장미군(Rosids) > 장미목(Rosales) > 장미과(Rosaceae) > 장미아과(Rosoideae) > 장미족(Roseae) > 장미속(Rosa)
장미는 빛을 매우 좋아하는 식물이고 공기유통이 비옥한 사양토에서 잘 자란다고 한다. 높이는 2~3m이며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이다. 5~6월에 담홍색, 담자색, 흰색 등의 꽃이 핀다.
장미꽃의 종류
장미꽃은 개량 품종이 많은 관상 꽃나무이다. 야생종만해도 200여종이 있고 원예종은 셀 수 없이 많아 중국과 한국에서 분류한 장미류는 크게 세가지로 나눈다.
장미(들장미류) - 현재 중국에서는 야생 장미류를 장미라 칭한다. 예컨대, 찔레(Rosa multiflora)는 野蔷薇, Rosa murielae는 西南蔷薇, Rosa albertii는 腺齿蔷薇 라 칭해진다. 한편, 산림경제에서는 황색 꽃이 핀다고 기록하였으며, 조선 후기의 원예서인 화암수록에서는 황홍 두 가지 빛을 지니고 있다고 기록하여, 현재 중국에서 장미라고 지칭하는 종들과는 다른 종을 장미라 불렀을 가능성이 있다.
월계화(月季花, Rosa chinensis와 Rosa × odorata) - 중국어로는 月季. 지역에 따라서는 月月红, 月月花, 长春花, 庚申蔷薇 등으로도 불린다. 조선 전기의 원예서인 양화소록에서는 사계화(四季花)라 기록하였는데, 사계화 중 화색이 분홍색인 것을 월계화라 칭한다고 기록하였으며, 또한 찔레를 청간사계(靑竿四季)라 칭하여 분류가 중국과 약간 차이가 있다. 영미권에서는 China rose라고 불린다. 현대 재배종 장미들의 탄생에 큰 영향을 끼쳤다. 한약의 약재로도 사용한다.
해당화(海棠花, Rosa rugosa) - 중국어로는 玫瑰(매괴/méigui/ㄇㄟˊㄍㄨㄟ). 북한에서는 열기나무라고 불린다. 영어로는 Rugosa rose, Japanese rose, Ramanas rose 등으로 불린다. 참고로 중국에서 海棠은 장미과 사과나무속에 속하는 Malus spectabilis(해당화,중국꽃사과나무), Malus prunifolia(추자해당,벚잎꽃사과나무), Malus halliana(수사해당,서부해당) 등의 종들, 즉 꽃사과 종류를 가리킨다. 중국과 한국 간의 이러한 명칭 차이로 인해 양화소록과 화암수록에서는 해당화와 꽃사과, 산당화(山棠花, Chaenomeles speciosa)를 혼동하는 부분이 나온다.
장미의 꽃말과 개수에 따른 의미
아래의 수에 의한 꽃말의 경우는 국가마다 조금씩 다르다. 아래는 동양권에서 쓰이는 꽃말이다.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소개] 영화 밀정 등장인물, 명대사, 평가 및 반응 (0) | 2023.03.21 |
---|---|
[드라마 소개] JTBC 토일드라마 신성한, 이혼 기획의도/등장인물/인물관계도 소개 (0) | 2023.03.21 |
[영화소개] 더 퍼스트 슬램덩크 - 줄거리, 등장인물, 국내 반응 및 평가 (0) | 2023.03.12 |
[영화] 영웅 / 뮤지컬 영화 줄거리, 등장인물, 개봉 후 반응 (0) | 2023.03.04 |
영화 <보이스> - 줄거리, 등장인물, 해외반응 / 넷플릭스 영화 추천 (0) | 2023.02.05 |